-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 재우는 방법(실제 경험담)육아 정보 2020. 10. 19. 23:50반응형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를 키우고 계시나요? 밤낮으로 잠 못 자 힘드시죠? 저 역시 그랬답니다.
제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해서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 재우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해요.
1. 아기의 잠 신호를 파악하라.
보통의 아기들은 졸리다고 울기 전에 엄마, 아빠에게 잠 신호를 보냅니다. 잠 신호란 잠이 올 때 졸리다고 몸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하품을 한다든지, 귀를 긁는다든지, 눈 주변이 빨개진다든지 등 잠 신호는 아기들마다 다르며 또 다양합니다. 때문에 내 아기는 졸릴 때 보통 어떠한 잠 신호를 보내는지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잠투정이 정말 심한 신생아 아기들의 경우는 잠 신호를 보낼 때 재우려고 하면 이미 잠 때를 놓쳐 재우기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와 놀아주다 아기가 잠 신호를 보내는 것 같다 싶으면 바로 재우기 모드에 돌입하면 됩니다. 한참 놀아주다 졸리다고 울기 시작할 때 재우려고 하면 늦은 겁니다.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 재우는 방법 TIP #1
아기가 졸리다고 울 때를 기다리지 마세요. 먼저 아기의 잠 신호를 파악하세요!
2. 아기의 먹놀잠 패턴을 파악하라.
신생아 아기들은 하루 일과가 먹고, 놀고, 자는 패턴으로 계속 돌아갑니다. 이것을 먹놀잠이라고 하는데요.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들을 잘 재우기 위해서는 내 아기의 먹놀잠 패턴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앞서 말씀드린 잠신 호도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먹놀잠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아기가 언제 먹고, 수유 후 얼마나 놀고, 또 얼마나 놀다 잠이 드는지를 기록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베이비타임 어플을 추천드립니다. 이러한 육아 기록 어플을 이용해 먹놀잠 패턴을 기록해 두면 내 아기가 수유 후, 총 몇 분 혹은 몇 시간 뒤에 잠드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기가 잠신호를 보내지 않아도 때에 맞춰 아기와 놀아주다 재우기 모드에 돌입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잠신호를 보내지 않아도 잘 시간이 됐을 즈음 수면환경을 조성해 주면 잠투정이 심한 신생아 아기들도 쉽게 잠이 들 수 있습니다. 저희 아기도 잠투정만 1-2시간을 하는 아이였는데, 먹놀잠 패턴을 기록하며 잠잘 시간이 됐을 즈음 잠자리에 눕히니 안아서 재우지 않아도 스스로 누워서 자는 아기가 되었답니다. 물론 스스로 누워 재우기 위해 수면 교육을 일주일 정도 했지만 잘 때마다 1-2시간 울지 않아 정말 살 것 같았습니다.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 재우는 방법 TIP #2
아기가 수유 후, 보통 몇 분(혹은 몇 시간) 뒤에 잤는지 파악하고, 때에 맞춰 수면환경을 만들어주세요!
3. 수면환경 만들기
잠투정 심한 아기를 잘 재우기 위해서는 수면환경을 잘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잠잘 때는 항상 동일한 잠자리에 눕혀주는 것이 좋으며, 잠자리 주변에는 많은 사물들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잠에 집중할 수 있도록 되도록이면 장난감이나 인형 등은 최소화해야 합니다.
그리고 낮에는 너무 어둡게 하기보다는 약간만 어둡게 하고, 어느 정도의 생활 소음(설거지 소리, 세탁기 소리 등)을 들려주어 낮잠과 밤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낮에도 밤처럼 너무 조용히 재우면 소리에 예민해져 작은 소리에도 쉽게 깨버립니다.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들은 보통 소리에도 예민한 편이기 때문에 낮에 재울 때에는 너무 조용히 재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낮잠과 밤잠을 확실히 구분시키고 싶다면 잠자리도 다르게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낮에는 거실에서 재우고, 밤에는 아기방에서 재우는 것입니다. 현재 저는 이 방법으로 둘째를 재우고 있는데 50일 전부터 밤에는 10시간 이상 통잠을 자기 시작했습니다. 아기들도 낮잠과 밤잠을 확실히 구분하는 듯합니다.
잠투정 심한 신생아 아기 재우는 방법 TIP #3
잠자리 주변을 깨끗하게 해주고, 낮잠과 밤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반응형'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분유양 어느 정도 먹어야 되나? (10) 2020.11.20 신생아 쪽쪽이 시기 언제부터 언제까지? (9) 2020.11.13 어린이집 입소대기신청 이렇게 따라하세요! 5분이면 끝! (4) 2020.11.06 쏘서 사용시기 언제가 적당할까? (4) 2020.10.29 어린이집 연장반 신청 어디서 할까? (0) 2020.10.28